본문으로 바로가기
반응형

이기적 유전자 (The Selfish Gene) - 리처드 도킨스 (Richard Dawkins)

 

<인간은 지배받는가?>

1976년 출간된 후, 지속적으로 비판을 받고 있는 이기적 유전자와 그의 저자 리처드 도킨스. 이러한 비판의 원인은 무엇인가? 본 책은 일반 대중을 대상으로 한 진화생물학 교양서적이다. 하지만 이를 교양서적으로만 치부하기엔 다소 어려움이 있을 것이다. 도킨스는 인간은 유전자의 복제 욕구를 수행하는 이기적인 생존 기계이다라는 문장과 함께 기존의 생물학적 패러다임에 새로운 빛깔의 물감을 흩뿌려 놓는다. 이것은 영역의 침범일까, 새로이 칠해지는 채색일까. ‘이기적 유전자론을 받아들이는 학자들은 저마다 비판과 수용이 엇갈린다.

우리는 생존기계다. , 우리는 유전자로 알려진 이기적인 분자들을 보존하기 위해 맹목적으로 프로그래밍 된 로봇 운반자들이다.”

교양서적으로 이 책을 집어든 나를 포함한 일반 대중은 이 메시지에 대해 어떻게 반응해야 할 것인가? 삶의 의욕을 상실하고 매너리즘에 빠진 채, 하루하루를 무기력하게 살아가야 할 것인가? 도킨스는 책의 서문에서 이 책을 읽은 독자 중 책이 주는 암울하고 냉혹한 메시지에 밤잠을 설치고 인생의 허무함을 깨닫게 되었다라고 항의하는 독자들이 있다고 서술한다. 하지만 이에 대해 도킨스는 다음과 같이 항변한다.

우리의 뇌는 이기적 유전자에 배반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는 정도로까지 진화했다. 우리가 그렇게 할 수 있다는 사실은 우리가 피임 도구를 사용한다는 점에서 분명해진다. 이것과 동일한 원리가 광범위한 규모로 작용할 수 있고, 또 작용해야 한다.”

저자는 사람들에게 인생의 허무와 목적의식 상실을 느끼게 할 수도, 좌절과 절망을 줄 수도 있는 놀라운 사실을 이 책을 통해 전하고 있다. 진화론의 새로운 국면을 전 세계의 사람들이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현대사회로 파고든 이기성]

인간의 관점에서 볼 때, 지극히 경이로운 시간동안 유전자는 이기성을 기반으로 그 존재를 유지하여 왔다. 지구를 구성하고 있는 생태계, 인간이 살아가고 있는 현대사회, 이러한 두 집단에서 이기성이 가장 쉽게 발견되는 부분 중 하나는 암수의 관계이다. 암과 수는 대체 어떻게 정의되는 것일까? 우리는 자웅동체이거나 번식의 방법이 일반적이지 않은 몇몇의 소수 생명체를 제외한 대부분의 생명체를 암과 수로 구별한다. 흔히 인간의 성별을 구별하는 가장 단순한 기준은 생식기의 차이이다. 실제로 포유류의 대부분은 페니스의 유무를 통해 암수를 구별할 수 있다. 더불어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인간의 성별은 사회화를 통해 학습된 생활양식의 차이를 통해 구별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이러한 구별방법들은 지극히 인간 중심적 관점에서 비롯된 것이며, 동식물을 가리지 않고 적용될 수 있는 기준은 다음과 같다.

동식물을 통틀어 수컷을 수컷, 암컷을 암컷이라고 명명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한 가지 기본적인 특징은, 수컷의 생식 세포(, 배우자gamete)는 암컷에 비해 매우 작고 그 수가 많다는 것이다. 이는 동식물 어느 것을 취급할 때도 마찬가지다 다른 성 간 차이는 모두 이 기본적 차이 하나에서 파생했다고 해석할 수 있다.”

자손을 생산하는 것은 암수 모두에게 굉장히 중요한 일이다. “유전자는 암수 중 어느 몸속에 들어 있든지 간에 그 몸에 따라 주어진 기회를 최대한 활용할 것이라고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두 성별에는 큰 차이가 존재한다. 수컷은 매일 만들어지는 수백만 개의 정자를 통해 빠른 시간 안에 많은 암컷을 이용하여 자손을 만들 수 있다. 암컷과 다르게 수컷은 사실상 만들 수 있는 자손의 수에 제한이 없는 것이나 다름없다. 저자는 이를 수컷의 암컷 착취의 첫 단계라고 표현한다. 잉태 전 단계에서도, 이미 암컷은 영양분이 집중된 소수의 난자의 형태로 수컷에게 생성되는 정자보다 훨씬 더 큰 투자가 이루어지며, 이는 하나하나의 자손이 수컷보다는 암컷에게 더 소중히 여겨짐을 뜻한다. 따라서 암컷은 수컷에게 버림받을 가능성이 크다. 교미가 끝난 직후, 수컷은 이미 암컷에게 난자를 제공받은 것이기 때문에 암컷의 암수 관계적 가치는 급격히 떨어진다. 이에 대한 대비책으로 암컷은 가정의 행복을 우선시하는 수컷을 선택하는 전략을 취한다. 교미를 거부하고 긴 약혼 기간 동안 수컷을 주도면밀히 파악하여 성실한 남편이 될 수 없는 수컷을 솎아낸다. 현대 사회의 인간에게도 일부 비슷한 부분을 찾아볼 수 있다. 인간 나름대로 구축해온 21세기의 문명, 그간 일구어져온 생활양식과 사회적 특성은 더 이상 자연 그대로의 암수 관계에 대립시킬 수 없지만, 기본적 특징은 유사한 면을 지니고 있다. 더불어, 인간 사회든 동식물 생태계든 간에 결국 다음 메시지에서 전하는 의미의 테두리를 벗어날 수는 없을 것이다.

유전자의 50퍼센트를 공유하는 부모 자식 사이에도 이해의 대립이 있는데 하물며 혈연관계가 아닌 배우자, 즉 짝 사이의 다툼은 얼마나 격렬하겠는가?”

 


------------------------------------------------------------------------------------------------------------------------------------------------------


레포트 제출을 위해 작성했던 서평입니다. 시간이 많이 부족해서 중심적인 내용만 정리하면서 책을 읽었는데, 시간이 나면 꼭 다시 한번 읽으려고 합니다.


전문은 해피캠퍼스[링크] 에서 찾아 볼 수 있습니다.

반응형